Advertisement

Select Page

[강태광 목사의 문학의 숲에서 만나는 진리의 오솔길]

이청준의 ‘미친 사과’

[강태광 목사의 문학의 숲에서 만나는 진리의 오솔길] </br></br> 이청준의 ‘미친 사과’

 

*작가 이청준의 작품 세계

이청준은 한국 문단을 대표할 만한 작가이다. 전남 장흥에서 태어나 광주일고와 서울대를 졸업한 수재로 부모를 포함한 온 집안은 법관이 되기를 바랐지만 그는 평생 작가로 살았다. 이청준 문학을 한마디로 정리하는 것은 어렵다. 그만큼 다양한 시도와 노력들이 있었다. ‘당신들의 천국’으로 대표되는 인간과 사회 및 개인과 권력 문제에 대한 성찰, 억압과 고통의 시대의 지식인들의 고뇌를 그린 ‘씌어지지 않은 자서전’, 판소리로 대표된 예술혼을 나타낸 ‘남도사람’ 연작과 ‘선학동 나그네’ ‘서편제’, 종교적인 차원의 죄와 구원의 문제를 탐구한 ‘낮은 데로 임하소서’ ‘자유의 문’ 등에 이르기까지 그의 문학적 스펙트럼은 아주 다채롭다.

이청준 작품들 중에 많은 작품이 영화화되었다. 서편제를 비롯하여, 낮은 데로 임하소서, 등등 영화의 원작 소설이 많다. 간단히 영화화된 이청준의 작품을 살펴보면, 김수용 감독이 영화화한 ‘시발점'(1969)의 원작 ‘병신과 머저리’ 두 젊은 남녀의 애절한 사연을 다룬 원작 동명 영화 ‘석화촌'(정진우 감독, 1972), 또 노모의 장례식을 계기로 그동안 쌓였던 갈등을 풀고 화해에 이르는 가족 구성원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축제'(임권택, 1996), 김기영 감독이 1974년 동명 소설을 영화화한 ‘이어도'(1977), 이청준의 단편 《조만득 씨》를 각색한 ‘나는 행복합니다’ 등등이 있다. 그만큼 독자들이 공감할 수 있는 작품을 남긴 것이다.

 

*기독교 문학가로서 이청준

이청준은 한국 소설계에서 흔치 않은 기독교 문학가다. 이청준은 작품 속에서 하나님의 존재와 인간의 구원을 둘러싼 문제에 대해 진지하고도 치열한 탐색을 계속한다. 이청준은 기독교가 말하는 구원을 갈망하고 구원의 원리를 수용하지만 기독교에 내재된 맹목적 순종과 일방통행적인 구원의 방법론에 대해 심각한 의문을 제기한다.

작가 이청준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종교는 신과 인간이 종속적인 관계에 놓여 있는 억압적인 종교가 아닌 ‘수평적으로 열려 있는 종교’다.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종교는 신과 인간이 함께 만들어가는 ‘현재 진행형 종교’이다. 이청준이 자신의 작품에서 그려가는 종교의 진리는 믿음의 대상이 아니라 창조의 대상이다. 물론 이점이 전통적 기독교 신앙과의 이청준의 신앙관이 갈등관계를 형성케 되는 중요한 이유다.

이청준은 기독교 신앙과 신앙인의 삶을 섬세하게 다룬 다수의 소설 작품을 남겼다. 맹인 목사 안요한 목사의 삶을 그린 ‘낮은 데로 임하소서’, 개발 공화국 문화 속에서의 갈등과 비 성경적인 신자들의 삶의 모순을 그린 ‘당신들의 천국’이 있고, 얼마 전 기독교 비하 논란과 함께 숱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던 영화 <밀양>의 바탕이 된 소설 ‘벌레 이야기’ 등이 그것들이다.

 

*우화 소설가 이청준

소설가 이청준은 인간 문제에 대한 관심으로 인간의 약함과 악함을 고발하는 작품을 남기려는 노력을 계속했다. 이런 관점에서 이청준은 우화 소설을 시도한다. 본지를 통해서 살펴본 바가 있는 ‘당신들의 천국’도 일종의 우화 소설이다. 이청준의 대표적인 우화 소설은 ‘치질과 자존심’ 그리고 ‘미친 사과’가 있고 이청준의 콩트집 ‘사랑의 목걸이’에 등장하는 열다섯 개의 단편들이 모두 우화 소설적 성격이 있다.

 

*‘미친 사과’ 줄거리

어느 마을에서 산비탈을 개간해서 배나무를 심었다. 배를 많이 수확해서 가난에서 벗어나고 자신들도 배를 맘껏 먹기 위해서 마을 사람들은 열심히 배나무를 심고 가꾸었다. 배나무를 심을 때는 희망을 심었고 거름을 주고 가뭄에 물을 줄 때는 희망을 가꾸었다. 그들은 자라는 배나무를 보는 것만으로도 행복했다.

그런데 몇 해 뒤 그 나무들에 열린 것은 배가 아니라 사과였다. 애초에 묘목을 잘못 골라서 심었던 것이다. 배나무를 심었다고 믿었고, 배나무에 대한 많은 기대를 가졌던 마을 사람들은 실망이 너무 컸었다. 너무 실망이 커서 그 현실을 도무지 받아들일 수가 없었다. 그래서 그들은 그것을 사과라고 부르지 않고 배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그러자 또 다른 문제가 발생했다, 마을에 이미 사과나무가 있었고 그 나무에서 사과가 열리고 있었기 때문에 기존의 사과를 어떻게 불러야 하는가 하는 것이었다. 혼란을 피하기 위하여 그들은 그것도 배라고 부르기로 했다. 그래서 이제 그들에게는 사과나무가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배를 팔러 시장에 나갈 때마다 다른 동네 사람들이 사과를 배라고 부르는 그들을 놀리고 비웃었다. 그런 식으로 그 마을 사람들은 어디를 가나 조롱을 피할 수가 없었다. 자신들이 기대한 배가 아니라 사과를 맺은 그 미친 나무에 대한 배신감과 수모감이 극에 달하자 마침내 그들은 일제히 산비탈로 달려가서 그 나무들을 모두 뽑아 버렸다.

 

*작품 해설과 메시지 정리

소설 ‘미친 사과’는 인간의 악함을 고발한 수작이다. 인간 개인도 악하지만 집단의 목적이나 욕심에 경사된 집단도 악하기 그지없다. 개인적 이기심도 문제지만 집단의 이기심도 치명적이다. 자신의 실수나 허물을 인정하지 못하는 개인도 찌질 하지만 집단이 범한 실수와 잘못을 인정하려 하지 않을 때는 좀 더 심각한 비극이 야기됨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담임 목회자의 세습을 감행한 대형 교회에서 ‘우리는 정당하다’라고 강변하는 해당 교회의 목소리들을 들으며 ‘미친 사과’를 생각했다. 우리는 빨리 우리들의 잘못을 인정하고 시인하는 용기가 필요하다고 믿는다. 어떤 면에서 한인침례교회 이슈가 되어 버린 장로제도 또한 솔직한 현실 인식을 통해서 해결책을 찾지 않으면 또 하나의 ‘미친 사과’를 만드는 비극을 연출하게 될 것이다.

미주침례신문 앱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