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Select Page

월드쉐어 USA, 사순절 금식 프로젝트로 영성 회복과 나눔 실천 나서

월드쉐어 USA, 사순절 금식 프로젝트로 영성 회복과 나눔 실천 나서

사순절의 역사적 의미와 현대적 실천

월드쉐어 USA(대표 강태광 목사)가 매년 실시하는 “사순절 금식을 나눔의 금식으로!” 프로젝트가 본격 준비에 착수했다. 월드쉐어 USA는 국제구호활동을 펼치는 종합 선교기관으로, 현대교회가 잃어버린 사순절의 영성을 회복하고 사순절 기간에 십자가와 주님의 고난을 묵상하며 사랑과 나눔을 실천하는 사순절을 지키자고 강조하고 있다. 사실 프로테스탄트와 복음주의 교회에서는 사순절에 대한 강조가 상대적으로 미약한 실정이다.

개신교에서 사순절 전통이 약화된 배경에는 중세 교회의 타락과 이에 맞서 교회의 타락을 지적하며 종교 개혁을 일으킨 종교개혁자들의 저항에 있다. 초창기 사순절은 영성 훈련과 영적 성장, 교회 갱신의 중요한 절기였으나, 중세 시대에 들어서면서 교황은 교권을 강화하기 위해서 규제를 강화했다. 테일러 마샬이라는 학자의 연구에 따르면, 당시 사순절은 현재의 라마단보다 훨씬 혹독하고 길었다고 말한다. 교황 그레고리 1세(540-604)는 피가 섞인 고기 섭취를 금지했고, 8-9세기부터는 계란도 금지 품목에 포함시켰다. 게오르크 스텐겔은 ‘사순절 내내 계란을 금지해 계란이 남아돌게 되었고, 이것이 부활절 계란의 기원이 되었다’고 분석했다. 또한 ‘고기는 안 되지만 어류는 된다’는 규정 때문에, 일부 수도원에서는 고기를 물에 담갔다가 꺼낸 후 이를 물고기라고 주장하는 해프닝도 있었다고 한다.

1500년대 츠빙글리 시대에는 사순절에 소시지 섭취마저 금지되었다. 당시 취리히의 한 인쇄업자가 성경 출판 기념 파티에서 노동자들에게 소시지를 대접했는데, 로마 교회가 이를 문제 삼아 처벌하려 했고 츠빙글리는 이에 저항했다. 이 사순절 논쟁이 츠빙글리의 종교개혁에 도화선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금식을 통한 선교와 나눔의 실천

월드쉐어 USA는 사순절 기도와 함께 금식으로 저축한 선교비로 주님의 사랑을 나누는 “나눔의 사순절”을 강조하고 있다. 성도들이 사순절 기간에 하루 한 끼 이상 금식하며 모은 금식비를 월드쉐어 USA에 전달하면, 이를 선교지와 구호 대상자들에게 전달한다.

기존에 월드쉐어 USA는 아이티, 수리남, 필리핀, 도미니카의 극빈 아동들과 우크라이나 전쟁 피해자들의 생활개선, 부활절 행사, 그리고 전도를 위해 이 선교비를 지원해 왔다. 특별히 올해는 지원 대상을 확대하여 LA 지역 산불 피해를 입은 한인 가족들도 돕기로 결정했다. 목회자를 포함한 다수의 한인들이 큰 피해를 입은 안타까운 현실을 고려한 결정이다.

강태광 대표는 “이번 사순절 프로젝트를 위하여 훌륭한 목회자들이 준비위원으로 돕고 있습니다. 모두 수년간 동역하며 교제해온 목회자들입니다. 몇몇 분은 일찍이 사순절 프로젝트에 동참하셨던 분들이고 취지와 설명을 듣고 동참하신 분들입니다. 모쪼록 사순절 나눔의 금식 프로젝트가 성도 개인에게는 영적 성장의 기회가 되고, 교회에는 갱신과 성숙의 기회가 되어 모두에게 선교와 나눔을 실천하는 기회가 되기를 바랍니다”라고 밝혔다.

/ 취재팀 bpnews@bpnews.us

미주침례신문 앱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