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Select Page

[사설 社說] 교권의 추락  

[사설 社說] 교권의 추락  

존중으로 세우는 권위의 시대 와야

한국의 서울 서초구 서이초등학교에서 극단적 선택을 한 교사의 사건이 온 나라에 큰 파장을 주고 있다. 극단적 선택을 동의하거나 격려할 수 없지만, 오죽했으면 그랬나 싶어 그 심정을 헤아려 보며 고인의 명복을 기원하며 유가족에게 위로가 있기를 기도한다. 

극단적 선택의 원인에 대한 논의가 섣부를 수 있으나 교권 침해로 인한 비관에 무게가 실리고 있어서 한국은 교권 추락에 대한 논쟁이 격렬하다. 학생인권조례로 인해 학생의 인권은 높아졌지만, 교사의 교권은 추락했다는 것이다. 이 사건에 더해 초등학생이 아이들 앞에서 교사를 때리거나 괴롭힌 사건이 추가로 이어지고 교사들의 울분이 폭발하면서 학부모의 갑질 사례들이 쏟아져 나오며 교사의 교권이 침해됐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한때는 군사부일체라는 유교적 전통 속에서 스승의 그림자는 밟지도 않는다는 말은 이제 꺼내기조차 민망한 옛말이 된 지 오래다. 이것은 비단 교사의 권위만의 문제는 아니다. 우리는 사회의 모든 곳에서 이런 말을 듣고 있다. “환자의 권위를 중시하다 의사의 권위가 무너졌다.” “사병의 권위를 중시하다 군대의 위계질서가 무너졌다.” “노동자의 권위를 중시하다 회사(상관)의 권위와 질서가 무너졌다.” “범죄자의 인권을 존중하다가 공권력이 무너졌다.” 등 수많은 곳에서 듣고 있는 말들이다. 교계에서는 목회자의 권위가 무너졌다는 말을 듣게 된다. 

종종 본보에 목회자 청빙을 의뢰하면서 추천도 받는다며 “권위적이지 않은 목사님을 추천해달라”는 조건을 듣기도 한다. 그들은 권위를 거부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내세우는 ‘권위주의’를 거부하는 것이리라 추측한다. 이렇듯 모든 권위를 거부하는 이른바 탈권위 시대를 우리는 살아가고 있다. 

그동안 약자들이 너무나 짓눌려 왔기 때문에 그 반대급부로 지나치게 이동한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교사에게 무자비하게 뺨을 맞고, 매를 맞았던 일이 낯설지 않았던 한국의 교실은 그것을 바꾸기 위해 교사의 권위를 제한하고, 학생의 인권을 보호하려 했고, 군대에서 겪었던 말도 안 되는 구타와 얼차려 등은 다시 그 반대로 크게 이동했다. 교회에서도 목회자는 성직자로 특별하게 인식됐지만, 그런 권위를 함부로 악용한 비상식적인 일들이 많았기 때문에 성도들과 목회자 자신이 목회자의 권위를 제안할 방법을 찾았고, 지금은 그런 분위기가 만연하다. 모든 것이 뿌린 대로 거두는 성경적인 삶의 이치에서 조금도 벗어나지 않는다, 자승자박(自繩自縛)이다. 

이름도 없이 빛도 없이 소명을 따라 걸어온 목회자가 비교 안 되게 많지만, 몇몇 잘못된 선배들의 행태가 고스란히 후배들에게 역습이 됐다. 현재 우리의 신앙과 목회의 자세에 대한 열매가 후배 목회자와 자녀, 교회에 돌아가게 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이번 서이초등학교의 사건을 계기로 학생인권조례와 교권을 점검하겠다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이 땅에서 완전한 것은 없겠지만, 그렇게 극과 극에서 생기는 문제를 조정하면서 균형을 찾게 되길 바란다. 

이제는 권위보다는 ‘배려와 존중’의 성숙한 인격이 필요한 시대다. 권위를 배척하거나 버리자는 것이 아니다. 권위는 주어지는 권위가 있고, 형성되는 권위가 있다. 굳이 권위를 언급하지 않아도 그런 성숙한 인격, 희생, 영성이 권위를 자연스레 세운다. 학생은 교사를, 교사는 학생을 존중하는 성숙한 인격이 학교에 필요하다. 오너는 직원을 직원은 오너를, 선임은 후임을 후임은 선임을 존중하는 그런 인격이 군대에 필요하다. 모든 영역에서 같지만, 특별히 목회자는 성도를 존중하고, 성도는 목회자를 존중하는 성숙한 인격이 교회에 필요하고, 교회의 변화가 가장 중요하다. 왜냐하면, 교회가 그렇게 될 때 그것을 보고 배운 다양한 직군의 성도들이 각자 삶의 자리에서 그것을 실천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정부가 큰 노력을 기울이는 것도 필요하겠으나, 교회가 잘못된 이 시대의 문제를 근원적으로 바로 잡을 수 있는 키워드이고, 산 소망이다. 

미주침례신문 앱 다운로드